2012년 11월 17일 토요일

초중등 수학교과 변화에 따른 대처방안

주입식 버리고 '생각하는 힘' 키워라

일전에 우리 학원의 초4 자녀를 둔 어느 학부모가 "스토리텔링형 수학이란 무엇인가요? STEAM 교육은 또 무엇이죠?"라는 질문을 던졌다. 요즘 이 두 가지 주제에 관심이 많은 것 같다. 우선 STEAM 교육이란,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 Mathematics의 약어로 여러 분야의 지식과 기술 학문 간의 융합을 의미한다. 일전에 교과부는 미래 융복합 시대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수학교육 개편안을 발표한 적이 있다. 문제 풀이와 점수 획득을 위한 수학교육이 아닌,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방향으로 수학교육을 개선하고 STEAM 교육과 연계해 융합적 사고 및 문제해결 능력을 배양하겠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피보나치 수열(논리)을 주입식으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황금비율(원리)과 연계해 A4용지, 신용카드 등의 디자인을 적용하는 것으로까지 나아가는 학습 형태다. 덧붙여 가정, 추론, 증명 등 논리적, 창의적 사고과정을 통해 문제의 해결 및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파악할 수 있는 평가방법을 개발하겠다고 했다. 즉 '쉽고 재미있는 수학', '창의적 수학', '맞춤형 수학'을 지향해 지금까지 문제 풀이 중심과 암기 위주의 반복적인 학습에서 탈피하겠다는 의미다. 내년까지 수학의 학습량을 20% 정도 줄인 스토리텔링형 교과서 모델을 개발해 2014년에는 초등 1,2학년 교과서부터 순차적으로 바꾸어 갈 예정이라고 했다.

그렇다면 이런 수학 교육의 변화에 어떻게 준비하고 대처해야 할까. 일단 STEAM에 부합하는 창의적 융합인재가 되기 위해서는 실생활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연관지어 개념들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체험학습 및 독서 활동이 필요하다. 수업 방법도 교사가 일방적으로 이끌어 갈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활동이 강조되는 자기주도적인 학습 형태로 바뀌어야 할 것이다. 습득된 지식을 서술하거나 표현하는 훈련도 필요하다. 또한 수학 및 자연과학에 대한 재능이 있는 학생의 경우, 미술 및 음악 등 예술 영역에 대한 체험 활동이나 독서를 통한 예술 영역의 지식 습득을 취하게 하는 노력도 효과적이다. 예컨대, 과천 국립과학관은 이러한 기능을 적용한 맞춤 전시 관람과 행사를 진행하니 이를 참고하는 것도 좋다.

수학 문제해결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수학자 폴리아의 문제해결 4단계를 참고로 하라고 조언하고 싶다. 폴리아의 4단계란 일단 문제이해(구하려는 것과 주어진 것을 파악), 2단계 해결 계획(모든 수학적 지식을 활용, 어떠한 방법으로 해결할지를 생각), 3단계 문제해결(계획에 따라 단계적 문제 해결), 4단계 검토 및 반성(문제해결 과정을 처음부터 검토해서 다른 해결 방법이 있는지를 생각하기) 등의 과정을 통해 개념을 정확하게 정립하고 확장해 서술하는 연습을 해보는 것이 좋다.

자녀가 스토리텔링형 수학 학습에 잘 적응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학을 재미있고 흥미로운 이야기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예컨대, '원'과 관련된 단계라면 원의 둘레와 넓이 관계에 대해 고민을 했던 고대 그리스 수학자 아르키메데스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은 어떨까. 왜 그가 원에 대해 고민을 했고, 어떻게 원주율을 발견할 수 있었는지를 쉽게 설명해준다. 수학을 처음 접하거나 어려워하는 저학년에게는 그림으로 보는 수학 동화책을 활용하는 것도 좋다. 그 후 그림일기나 수학일기 등을 통해 정리해보는 연습을 해본다.
조선일보

댓글 없음:

댓글 쓰기